보고, 듣고, 읽고/온라인 교육

[휴넷] 박원우 교수의 동기부여와 임파워먼트

최윤호 2016. 11. 1. 22:33
반응형

오랫만에 휴넷의 교육을 듣는다.

 

이번에 들을 강좌는 "박원우 교수의 동기부여와 임파워먼트"

 

* http://hbs.hunet.co.kr/Education/Detail?gid=Y00009733

 

듣고 싶은 주제는 따로 있었지만, 오랜만의 온라인 교육이라 워밍업 차원에서 좀 쉬워보이는 것으로 골랐다.

 

제1장  동기부여와 임파워먼트

제1절  동기부여와 임파워먼트의 필요성

 

 

 

통제(control)에서 자율과 몰입(commitment)로 이행해야 하는데,

이렇게 통제 중심에서 몰입과 역할 중심으로 나아가게 하는

여러 혁신과 방법을 총칭하는 말이 Empowerment이다.

 

계층 vs 팀
관료제 vs 네트워크
피라미드 vs 서클

 

 

제2장  동기부여의 이해

제1절  동기부여의 요소

 


 1. 내용 이론(Content Theory)

무엇이 사람으로 하여금 하고 싶게 만드는가?

 

1.1 Maslow 욕구 이론(Need Theories) : 생리적 < 안전 < 사회적 < 자긍심 < 자아실현의 욕구

 

1.2 Alderfer 욕구 이론(Need Theories) : 존재 < 관계 < 성장

 

1.3 McClelland 학습된 욕구 이론(Learned Need Theories) : 성취 욕구 - 소속 욕구 - 파워 욕구

 

1.4 Herzberg 2요인 이론 : 위생요인(Hygiene Factor)과 동기요인(Motivator)

 

 

1.4.1 위생요인 : 외적인 요소. 안전, 상태, 개인적인 삶, 동료 관계, 급여, 작업 환경, 상사와의 관계, 감독, 정책

 

1.4.2 동기요인 : 내적인 요소. 급여, 성장, 승진, 책임감, 작업 자체, 인정, 달성

 

 

제2장  동기부여의 이해

제2절  동기부여의 과정

 

 

2. 과정 이론(Process Theory)

어떤 과정이 의욕이 생기게 하는가?

 

2.1 Vroom et al.의 기대이론(Expectancy Theory) : 노력 -> 성과 -> 결과

 

2.1.1 기대치(Expectancy) : 노력하면 성과를 낼 수 있을까?

 

2.1.2 도구치(Instrumentality) : 성과를 내면 결과가 좋을까?

 

2.1.3 선호치(Valence) : 결과가 내 마음에 들까?

 

2.1.4 Motivation = Expectancy x Instruentality x Valence

 

 

2.2 Locke의 목표설정 이론(Goal-Setting Theory) : 구체적이고, 도전적이며, 피드백이 좋은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2.3 Adams의 공정성 이론(Equity Theory) : 나와 타인의 투입과 산출 비율을 비교해서 공정한 상태로 가려고 행동한다.

 

제2장  동기부여의 이해

제3절  통합적 동기부여의 이론

 

 

3. 통합이론

 

3.1 내용이론 : 2요인 이론

 

3.2 과정이론 : 기대 이론. 공정성 이론

4. 강화이론(Reinforcement Theory)

 

4.1 긍정적 강화 : 받아서 좋은 것을 제공 => 바람직한 행동 강화

 

4.2 처벌 : 받아서 싫은 것을 제공 => 부정적인 행동 약화

 

4.3 소거 : 받아서 좋은 것을 보류 => 부정적인 행동 약화

 

4.4 부정적 강화 : 받아서 싫은 것을 보류 => 바람직한 행동 강화

 

4.5 순응(compliance), 동일화(identification)이 아니라 진정한 변화 => 내재화(internalization)

 

제2장  동기부여의 이해

제4절  동기부여 모델의 응용

 

 

5. 직무설계 : 직무순환(Job Rotation). 직무확대(Job Enlargement). 직무충실화(Job Enrichment)

 

5.1 직무충실화 : Plan, Do, See를 모두 맡아 진행함

 

5.2 직무충실화의 효과 : 2요인 이론에 따른 내재적 만족도를 높여서, 생산성 확대와 업무 만족 향상

 

6 직무특성이론 모형(The Job Characteristics Model) : 직무 이론 + 동기 이론 + 리더십 이론

 

 

6.1 직무핵심특성 : 기능의 다양성. 과업의 정체성. 업무의 중요성. 자율성. 피드백

 

6.2 JDS(Job Diagnostic Survey) : 직무특성이론에 따라 직무핵심특성의 점수를 산출

 

6.3 MPS(Motivating Potential Scor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