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차별의 오류
평등을 소유의 관점에서 해석하게되면 적극적인 평등을 위해 역차별을 고려하게된다. 역차별은 많은 녀석에게 조금 주고, 적은 녀석에서 많이 주는 것이다. 배분을 끊임없이 반복해서, 일시적인 소유의 평등을 항시적으로 유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라도 진정으로 소유의 관점에서 모든 것이 평등해진다면 더 바랄 것이 없을 것이다. 하지만, 역차별은 다른 문제를 갖고 있다. 이 문제는 역차별로 평등을 달성할 수 있느냐없느냐보다 더 중요한 문제다. 역차별의 시행 주체가 누가될 것인가의 문제이다. 과연 누가 개개인의 성향과 활동을 예측하고 적절한 배분표를 만들수 있을까?? 현대사회의 권력은 국제사회, 국가, 자본, 행정부, 입법부, 거대기업, 언론, NGO 등이다. 이들 중에 누구에게 적절하고, 공정한 배분을 맡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