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나눠서 정복하라 - 프로젝트 관리의 첫번째 규칙
1. 프로세스 정립 - 프로젝트 관리의 두번째 규칙
2. 시나리오 작성 - 프로젝트 관리의 세번째 규칙
3. 공통 요소 정리 - 프로젝트 관리의 네번째 규칙
수정이 빈번하고, 하나의 수정이 여러 곳의 수정을 연달이 일으키는 경우, 이런 수정 작업을 지원하는 툴을 꼭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슈와 소스 관리, 도움말 생성 툴을 흔히 접할 수 있는 이유는 이러한 요구 사항과 소스, 그리고 도움말의 경우 수정이 빈번하고, 하나의 수정 사항이 여러 곳에 영향을 끼치기때문이다.
툴을 사용하는 것은 개발과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작업 중의 문제 발생의 여지를 줄인다.
SP의 템플릿을 일괄 변경해야하는 작업이 생겼을 때 수천개의 SP를 수동으로 처리할 것인지, 자동으로 처리할 것인지는 그동안 얼마나 툴에 투자했느냐로 결정된다.
자동화된 툴을 사용하지 않았던 조직은 수동으로 변경해야 할 것이고, 이 수정 작업 중에 발생할 지도 모를 에러도 처리해야 한다.
반면, 모든 SP를 이름, 작성자, 내용 등으로 정리하고, 생성 혹은 수정 sql 스크립트를 생성해 주는 툴을 꾸준히 써왔다면 빠르고 정확하게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상황에 맞는 툴을 발견하고, 구매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필요에 따른 툴 개발이 필요하다.
필요한 툴을 부적절한 것으로 대체하거나, 전혀 맞지 않는 범용 오피스로 대용하기도 하지만, 이런 부적절한 툴의 도입은 결국 사용하지 않은 툴로 전락한다.
툴 개발에 자원이 투입되고, 질이 높지 않은 툴을 사용하는 것으로 개발 생산성에 장애가 올 수도 있다.
하지만, 툴이 없거나, 적절하지 않은 것을 사용하면 결국 더 많은 노력이 든다.
수정이 빈번하고, 여러 곳에 걸쳐 있는 내용을 쉽고, 빠르며, 정확하게 수정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자동화된 툴을 이용하는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 > 개발? 개발!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직군에 문서 도우미 역활 (2) | 2008.04.25 |
---|---|
일정관리의 희비 (0) | 2008.03.08 |
3. 공통 요소 정리 - 프로젝트 관리의 네번째 규칙 (0) | 2008.02.15 |
정리된 소스는 정리된 책상과 같다. (0) | 2008.01.25 |
프로그램의 가치 (0) | 2008.01.14 |